권토중래 유래와 뜻 썸네일형 리스트형 捲土重來(권토중래) 유래와 뜻 捲土重來(권토중래) 유래와 뜻 捲(말 권) 土(흙 토) 重(거듭 중) 來(올 래) 권토중래의 유래는 ≪史記(사기)≫ 項羽本紀(항우본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 곳에는 당대(唐代)의 시인 두목(杜牧:803-852)의 제오강정(題烏江亭)이라는 칠언절구 시가 있다. 초한(楚漢)이 천하를 두고 싸우던 시절, 어느날 전투 중, 전세가 불리해지고, 항우는 해하(垓下)에서 한나라의 포위를 빠져 나와 가까스로 후퇴하여 오강(烏江)까지 오게 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오강의 정장(亭長)은 항우를 위해 배 한 척을 준비해 주고 그에게 강을 건너라 했다. 그러나 항우는 쓴웃음과 함께 거절하였다. 江東(강동) 의 수 많은 자식들 대부분을 전장에서 잃고 강동 땅으로 돌아갈 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살아남은 단지 20명의 병사..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