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유래

부중치원(負重致遠) - 방통의 고사


負重致遠(부중치원) 
 

負(질 부) 重(무거울 중) 致(보낼 치) 遠(멀 원) - 부중치원
  
삼국지(三國志)에 나오는  촉서(蜀書) 방통(龐統)전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다. 삼국시기에,중국 후한(後漢)이 멸망한 후 위(魏)·오(吳)·촉한(蜀漢)의 삼국시대에  동오(東吳)의 유명한 대신인, 대도독(大都督)이었던 주유(周瑜 175∼210)가 병으로 죽게됐을 때, 그의 친구였던 방통(龐統)은 몹시 슬퍼하며 달려와 조문을 하였다.

 

박학다식하고 명성이 높았던 방통이 동오(東吳)지방에 오자, 동오(東吳)의 명사(名士)인 육적, 고소, 전종 등은 그와 친분을 맺었다. 문상을 마치고 방통을 환송하는 술자리를 마련하고 대화를 나누었다. 방통은, 육적에 대해서는 잘 달리는 말과 같은 인재라고 하고, 고소는 힘든 일을 이겨내며 일하는 소와 같이 무거운 짐을 멀리갈수 있다라고 하고[顧子可謂駑牛能負重致遠也, 부중치원] , 전종은 지혜는 좀 떨어지지만 그 역시 당대의 인재라고 평가하였다. 

 

 

 

 


이에 어떤 사람이 방통에게  그렇다면 육적의 재능이 고소를 능가할만큼 크다는 뜻입니까? 하고 묻자, 방통은 이렇게 대답하였다.  말은 민첩하여 빠르게 달릴 수 있지만, 한 사람 밖에 태울 수 없소. 하지만 소는 하루에 삼백리를 갈 수 있거니와, 소가 짊어진 짐이 어찌 한 사람의 몸 무게만 되겠소? 


   負重致遠(부중치원) 이란 무거운 물건을 지고도 먼 곳까지 간다는 뜻으로  주요한 직책을 맡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